leejeonghwan.com

적자도 아닌데 임금부터 깎고 보자?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19일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파업 돌입을 결의했다. 파업에 돌입하기까지는 중앙노동위원회 쟁의조정 절차와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야 하지만 벌써부터 언론의 집중포화를 맞고 있다. 경제도 어려운데 무슨 파업이냐는 이야기다. 여론의 반응 역시 매우 부정적이다.


“정말 지겨운 현대차 노조(한국일보)”, “살아남기도 급급한데 파업 운운하다니(중앙일보)”, “현대차 노조는 파업밖에 모르나(서울경제)”, “이 난국에 파업… 현대차 또 역주행(헤럴드경제)” 등의 원색적인 비난이 쏟아지는 가운데 “조합원들이 슬기롭게 차단하라(문화일보)”, “파업결의에 내부반대 목소리 봇물(연합뉴스)” 등 노노갈등을 부추기는 기사도 부쩍 늘어났다.

물론 상당수 노조원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대부분의 언론이 정작 노조의 주장과 요구에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 일방적으로 노조를 매도하고 있어 여론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일부 언론은 핵심 쟁점인 주간 2교대제와 관련해서도 “일은 덜하고 임금은 그대로 받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논리로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

현대차는 주야 2교대로 주간 8시간, 야간 8시간씩 일하면서 각각 잔업이 2시간씩 모두 20시간 공장을 가동해 왔다. 문제는 기본급이 전체 56% 밖에 안 되고 잔업과 특근 수당 비중이 높다는 것. 현대차 노사는 주간 2교대로 8시간씩 일하고 잔업을 줄이되 임금 수준을 유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회사 쪽에서 매출 급감을 이유로 주간 1교대제를 제안하고 나서면서 논의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노조 입장에서는 주간 1교대를 하게 되면 잔업과 특근 수당을 못 받게 돼 상당 부분 임금이 줄어들게 된다. 애초에 기본급 비중이 낮은 기형적인 임금 구조 때문에 노조의 반발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언론 보도를 보면 노조가 공장 가동률을 조정하거나 인력을 전환 배치하는데 반발하는 것처럼 비춰지지만 논란의 본질은 경영 악화를 빌미로 인건비 절감을 어느 수준까지 받아들여야 하느냐에 있다. 적자를 내는 것도 아닌데 노동자들에게 임금 삭감을 강요하는 상황이지만 언론 보도에서는 이런 문제제기를 찾아보기 어렵다.

.

www.leejeonghwan.com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