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Written by leejeonghwan

February 19, 2004

미국은 쿠바를 굶겨 죽이려고 했다. 1990년대 초, 소련이 무너지면서 기댈 언덕이 없어진 쿠바는 한때 정말 굶어죽을 위기를 맞기도 했다. 그러나 쿠바는 자생적인 해법을 찾아냈다. 쿠바에 대한 인식을 바꿔라. 우리는 쿠바에서 우리의 다음 세대를 위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

돌아보면 그때 미국은 정말 치사했다. 1992년 이른바 쿠바 민주화법이란 걸 만들어 쿠바에 한번 들른 선박은 6개월 동안 미국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했다. 전세계 모든 나라들을 상대로 쿠바와 무역하지 말라고 협박을 하기도 했다. 결국 쿠바의 국내총생산은 1989년 193억페소에서 1993년 100억페소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사탕수수 수출은 80% 이상 줄었고 석유의 수입도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식료품 수입도 절반으로 줄었다.

쿠바의 위기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공장의 80%가 폐쇄되고 실업률이 40%를 넘어서는데도 말이다. 석유가 없어 트랙터는 밭에 멈춰섰고 사료와 백신이 부족해 가축은 무더기로 죽어나갔다. 교통의 70%가 마비됐고 농촌의 수확물은 밭에서 썩어갔다. 1991년 피델 카스트로 국가평의회 의장은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정부의 배급은 갈수록 줄어들다가 바닥을 드러냈다. 쌀은 한달에 2.4킬로그램, 빵은 하루 20그램, 달걀은 일주일에 두개가 고작이었다. 국민들의 체중은 3년동안 평균 9킬로그램이나 줄어들었다. 치명적인 전염병이 돌았지만 병원에는 아스피린조차도 없었다.

쿠바는 아사 직전의 위기에서 생존의 해법으로 도시농업을 선택한다. 가축이 죽고 없으니 야채라도 먹어야 했고 교통 수단이 없으니 가까운데서 야채를 길러야 했다. 그러나 도시 한복판에서 어떻게 야채를 기른단 말인가. 방법은 있다. 제대로 된 벽돌이 있으면 좋고 없으면 그냥 돌이나 합판 쪼가리도 좋다. 그런 것들로 둘레를 친 다음 퇴비를 섞은 흙을 담으면 그럭저럭 훌륭한 밭이 된다. 아스팔트든 콘크리트든 어디에든 만들 수 있고 왠만큼 비가 와도 흘러 내려갈 일도 없다. 쿠바 사람들은 이렇게 만든 밭을 오가노포니코라고 부른다. 오가노포니코는 이제는 쓸모없어진 주차장이나 빈 공터 위에 만들어졌다. 이 오가노포니코가 쿠바를 살렸다.

쿠바의 토지는 그때나 지금이나 모두 국가 소유다. 농사를 짓고 싶은 사람들은 정부에 신청만하면 공짜로 땅을 받을 수 있다. 경제 위기 전까지 야채를 거의 먹지 않았던 쿠바 사람들은 채식주의자가 됐고 기꺼이 농부가 됐다. 도시 한복판에 밭이 들어섰고 푸른 채소가 자라기 시작했다. 카스트로는 앞장서서 채식주의자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정부는 시민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줬다. 국영TV는 농업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불식시키는 대대적인 교육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화학 비료가 없으니 유기농업을 할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 사람들은 식충 개미를 이용한 방제 방법이나 지렁이 퇴비, 윤작 등 다양한 유기농업 기술을 개발해 냈다. 정부 차원에서 연구도 진행됐다. 쿠바는 유기농업 기술에서 세계에서 가장 앞선 나라로 평가받는다. 2000년 들어 경제위기가 끝난 뒤에도 쿠바의 도시농업은 더욱 활성화하고 있다.

변화는 생활 전반에서 나타났다. 수도 아바나의 거리에는 이제 자전거가 넘쳐나기 시작했다. 채식의 습관이 없었던 것처럼 쿠바 사람들은 자전거 타는 습관이 없었다. 그러나 자동차가 멈춰버린 이상 다른 수가 없었다. 쿠바 정부는 중국 등에서 150만대의 자전거를 수입해 시민들에게 나눠줬다. 자동차 수는 경제위기 전보다 3분의 1이나 줄어들었고 전체 교통량의 30%를 자전거가 맡게 됐다. 자전거를 싣고 탈 수 있는 자전거 전용버스도 등장했다. 세계은행은 쿠바가 자전거 문화를 도입하면서 연간 5천만달러의 경제효과를 얻었다고 분석했다.

의료 시스템도 크게 바뀌었다. 수입의약품의 대안으로 의사들은 전통 민간요법인 허브 치료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미신이라고 비웃는 사람도 많았지만 약 한첩 안써보고 그냥 끙끙 앓는 것보다 낫지 않은가. 정부차원에서 허브와 약초, 침을 활용한 대안의료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도 경제 위기 무렵부터다. 그 결과 전통의료기법의 상당부분이 과학적 근거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부작용 없는 자연산 녹색 약품의 비중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쿠바는 헌법에 모든 국민은 무료로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명기하고 있다. 의사 1명당 주민수는 158명으로 일본의 520명보다 적다. 1천명당 유아 사망률은 6.4명, 평균수명은 76세로 개방도상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생태도시 아바나에서 우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존 모델을 발견한다. 에후페니오 후스텔 장관의 말처럼 쿠바의 변화는 소련의 붕괴와 미국의 경제봉쇄 뿐만 아니라 쿠바인들의 의식의 봉쇄를 극복하는데서 출발했다. 오랜 세월동안 소련의 속국으로 머물렀던 쿠바는 존망의 위기에서 새로운 자립 기반을 만들어냈다. 그들은 도시를 일궈서 생명을 불어넣었고 위기를 넘어 이제 지속가능한 미래를 꿈꿀 수 있게 됐다.

쿠바 사람들은 한달에 평균 20~30달러를 번다. 연봉으로 치면 우리나라 돈으로 40만원 정도다. 집세는 법에 따라 급여의 10%로 제한돼 있고 의료비와 탁아비, 교육비는 모두 무료다. 또한 모든 국민이 거의 무료나 다름없는 가격으로 대부분의 식료품을 배급받는다. 40만원으로 1년을 충분히 먹고살 수 있다는 이야기다. 문맹률은 0%에 가깝고 남녀평등도 놀랄만한 수준이다. 생후 6개월에서 유치원 입학까지 어린이들은 모두 어린이방에서 키운다. 의사 가운데 남녀 성비는 52 대 48 정도다. 빈부격차도 거의 없다. 최고 임금과 최저 임금의 차이는 25% 수준에 그친다. 쿠바는 다른 어느나라도 하지 못한 실험을 하고 있다. 생태주의는 사회주의에도 생명을 불어넣었다.

1990년대 초반 쿠바는 완벽하게 고립돼 있었다. 눈을 돌려 더 넓게 보면 그때 쿠바뿐만 아니라 세계는 결국 닫혀 있다. 우리는 자연을 파괴하고 다른 나라를 약탈하면서 성장해왔고 성장하고 있다. 그런 성장은 지속적이지 못하다. 우리는 도시의 삶에 너무 익숙하고 다른 삶의 방식을 알지 못한다. 생태도시 아바나는 우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것들, 보다 평등하고 보다 자유롭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쿠바의 사회주의는 완성돼 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회주의를 더욱 완벽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사회주의를 포기할 의도는 결코 없습니다.” (피델 카스트로)

.

www.leejeonghwan.com

Related Articles

Related

“당신들은 전혀 래디컬하지 않다.”

대학 거부 선언한 김예슬이 한국 진보에게 던지는 뼈 아픈 충고.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지난달 10일 한 대학생이 학교를 그만뒀다. 그것만으로는 특별한 일도 아니지만 그가 던진 메시지는 충격적이었다. 그는 국가와 대학과 시장을 적으로 규정했다. "일단 대학은 졸업하라"는 주변의 충고를 거부하고 자퇴를 선택한 그는 "작지만 균열이 시작됐다"며 "그래, 누가 더 강한지 두고 보자"고 선전포고까지 했다. 한 젊은이의 감상과 치기로 보기에 그 울림은 컸다....

쌍용자동차, 사람 자르는 것으로 위기 넘어설 수 있나.

쌍용자동차가 지난 8일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전체 인력 7179명 가운데 2646명을 정리해고한다는 계획인데 당연히 노동조합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쌍용차 노조는 13~1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84%의 찬성으로 가결, 만약 정리해고가 시작되면 총파업으로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쌍용차 사태는 한치앞도 내다 보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주요 언론이 보도한 바와 같이 쌍용차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따르면 다음달 6일 법원에 제출될 실사...

궤변으로 점철된 공병호의 장하준 비판.

국내 대표적인 자유주의자로 꼽히는 공병호 공병호경영연구소 소장이 장하준 케임브리지대학 교수가 지난해 10월 출간한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공 소장은 월간조선 2월호에 기고한 에서 "생각이 가난하면 삶이 가난해질 수밖에 없다"며 장 교수의 주장을 반박했다. 장 교수는 '나쁜 사마리아인들'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은 애초에 동등한 경쟁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선진국들은 보호무역으로 성장했으면서 이제 와서 개발도상국들에게 자유무역을 강요하는 것은 옳지...

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Join

Subscribe For Updates.

이정환닷컴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

www.leejeonghw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