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은행가’를 읽다.

Written by leejeonghwan

September 4, 2002

구두닦이에게 물었다. “돈을 벌면 어디에 쓰죠?”

“절반은 쌀을 사고 절반은 주인한테 줘야합니다.”

“주인이 누군데요?”

“당연히 구두 닦는 솔과 구두 통을 빌려준 사람이죠.”

구두 닦는 솔과 구두 통은 기껏해야 3만원 정도 밖에 안한다. 겨우 3만원만 없어서 이 사람은 구두 닦는 솔과 구두 통을 빌려준 사람의 노예가 된다. 그나마 일을 하는 사람들은 낫다. 거리 곳곳에서 사람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는데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당신에게 손을 내민다. 이들에게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고리대금업자들은 이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일주일에 10%씩 이자를 받는다. 이들은 살아남으려고 어쩔 수 없이 빚을 내지만 빚은 계속 늘어나고 결코 빚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정말 희망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도대체 이들은 왜 이렇게 가난한 것일까. 게을러서일까. 현실을 벗어나려는 의지가 없어서일까.

방글라데시 마을은행의 실험을 돌아보자. 이 은행은 구두닦이에게 3만원을 빌려준다. 아무런 담보도 서류도 없이 그냥 빌려준다. 이자는 한해 20%. 그리고 일주일마다 120원씩 갚게 한다. 놀랍게도 이 3만원은 구두닦이의 삶을 크게 바꾸어 놓는다. 그날 그날 먹고 살기 바빴던 구두닦이는 3만원으로 새로운 희망을 찾는다.

놀라운 일이다. 20%면 결코 싼 이자가 아니다. 그런데도 99%가 넘는 사람들이 돈을 착실히 갚는다. 세계의 어떤 은행도 이만큼 대출해준 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한다.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 가장 돈을 잘 갚는다는 이야기다. 마을은행은 가난한 마을을 찾아가 사람들을 모아놓고 돈을 빌려가라고 말한다. 돈을 빌려가서 현실과 맞서 싸우고 가난을 넘어서라고 말한다. 일주일마다 갚아야 하는 120원은 이들에게 더이상 빚이 아니다. 120원을 갚아나갈 때마다 이들은 새로운 꿈을 꾼다.

매일 같이 굶고 살았던 어떤 여자는 5만원을 빌려서 송아지를 한마리 샀다. 일년 뒤 송아지는 자라서 새끼를 낳았고 그는 빚을 깨끗이 갚았다. 그리고 다시 10만원을 빌려 땅을 사고 거기에 바나나 나무를 심었다. 또 염소와 닭도 키운다. 그는 더이상 굶지 않는다. 이제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꿈에 부풀어 있다.

“마을은행은 제게 어머니 같은 존재예요. 아니 어머니나 다름 없어요. 제게 새로운 생명을 주었기 때문이죠.”

누구나 현실을 넘어서려고 애쓴다. 물론 가난한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사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가난한 사람으로 머물러 있게 만든다. 이 사람들에게는 몇푼 안되는 돈도 돈이지만 현실을 넘어설 수 있는 희망이 필요했다. 마을은행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심어주었다. 가난을 넘어서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힘을 불어 넣어주었다.

3만5천원을 42명에게 빌려주면서 시작한 마을은행은 이제 방글라데시에 1175개 지점을 두고 240만명에게 3조3600억원을 빌려주는 큰 은행이 됐다. 직원수도 1만2천명에 이른다. 세계 곳곳에서 방글라데시의 마을은행을 찾아와 가난을 이겨내는 법을 배워가고 있다.

국민총생산이 늘어나면 과연 모두가 잘 살게 될까. 세금을 많이 거둬 복지 예산을 늘리면 과연 모두가 행복하게 될까. 지금까지 교과서에서 배운 뜬 구름 잡는 어떤 경제이론도 굶어 죽어가는 사람들을 살려내지 못했다. 사회에서 가난이 사라지지 않는 건 아무도 가난을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무도 뛰어들어 부딪혀 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을은행을 봐라. 5만원이 현실을 바꾼다. 실천은 초라하지만 결국 그렇게 시작하는 수밖에 없다.

마을은행 총재 무하마드 유누스는 말한다. “우리는 꿈꾼 것만을 이룰 수 있다. 우리는 가난 없는 세상을 머리속에 그려볼 수 있어야만 이 같은 세상을 건설할 수 있다.”

따뜻함이 없는 이론은 빈약하기만 하다. 사람들을 믿지 못하면서 어떻게 사람들을 바꿀 생각인가.

.

www.leejeonghwan.com

Related Articles

Related

“당신들은 전혀 래디컬하지 않다.”

대학 거부 선언한 김예슬이 한국 진보에게 던지는 뼈 아픈 충고.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지난달 10일 한 대학생이 학교를 그만뒀다. 그것만으로는 특별한 일도 아니지만 그가 던진 메시지는 충격적이었다. 그는 국가와 대학과 시장을 적으로 규정했다. "일단 대학은 졸업하라"는 주변의 충고를 거부하고 자퇴를 선택한 그는 "작지만 균열이 시작됐다"며 "그래, 누가 더 강한지 두고 보자"고 선전포고까지 했다. 한 젊은이의 감상과 치기로 보기에 그 울림은 컸다....

쌍용자동차, 사람 자르는 것으로 위기 넘어설 수 있나.

쌍용자동차가 지난 8일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전체 인력 7179명 가운데 2646명을 정리해고한다는 계획인데 당연히 노동조합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쌍용차 노조는 13~1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84%의 찬성으로 가결, 만약 정리해고가 시작되면 총파업으로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쌍용차 사태는 한치앞도 내다 보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주요 언론이 보도한 바와 같이 쌍용차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따르면 다음달 6일 법원에 제출될 실사...

궤변으로 점철된 공병호의 장하준 비판.

국내 대표적인 자유주의자로 꼽히는 공병호 공병호경영연구소 소장이 장하준 케임브리지대학 교수가 지난해 10월 출간한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공 소장은 월간조선 2월호에 기고한 에서 "생각이 가난하면 삶이 가난해질 수밖에 없다"며 장 교수의 주장을 반박했다. 장 교수는 '나쁜 사마리아인들'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은 애초에 동등한 경쟁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선진국들은 보호무역으로 성장했으면서 이제 와서 개발도상국들에게 자유무역을 강요하는 것은 옳지...

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Join

Subscribe For Updates.

이정환닷컴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

www.leejeonghwan.com